Noodle talk

[푸드칼럼] 한영신 교수의 ‘식품과 알레르기’ 시리즈 - 식품알레르기를 가진 어린이의 심리

농심기업블로그 2018. 12. 10. 05:00

한영신 교수의 '식품과 알레르기' 시리즈

식품알레르기를 가진 어린이의 심리




삼성서울병원 알레르기센터 식품알레르기 크리닉은 1998년 우리나라에서는 최초로 의사, 영양전문가, 심리발달전문가, 아동간호전문가가 팀을 이루어 종합적인 관리를 시도한 곳이다. 그러다 보니 식품알레르기를 가진 어린이들이 전국에서 찾아오는 곳이 되었다. 너무 많은 식품에 알레르기를 보여 몇 가지 식품만 먹을 수 있는 심한 아토피피부염을 가진 아기, 우유알레르기가 심해 피부에 닿기만 해도 부어오르는 아이, 헤이즐넛 알레르기로 누가 옆에서 헤이즐넛을 먹기만 해도 호흡하기 힘들어지는 아이 등 일반적으로 보기 힘든 식품알레르기를 지닌 아이들을 접하게 된다. 


아이들이 원인식품 노출로 인하여 위험한 상황이 처해지지 않고, 영양적으로 적합한 식품을 선택하도록 하기 위해 엄마와 많은 고민을 하며 상담을 한다. 진료실에서 엄마와 상담을 하다 보면 정작 아이와 대화를 하거나 표정을 살펴볼 시간이 많지 않다. 어느 날 알레르기 센터에서 진료를 기다리며 진료실 밖에 앉아있는 아이들 옆을 지나가다가 한 아이가 나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아이가 앉아있기만 할 뿐인데 전체적인 모습이 너무 안쓰럽다는 느낌을 주었다. 자세히 보니 계속 상담을 하던 아이였다. 진료실에서는 엄마와 주로 상담을 하다 보니 아이의 모습을 주의 깊게 보지 못했던 것이다. 


그런데 부모조차도 아이의 심리 상태를 잘 살피지 못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만성적인 질환을 가지고 있는 아이의 부모들이 아이의 질병에만 집중하느라 정작 질환을 가지고 있는 아이의 마음이 어떠할지를 헤아리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시간이 지나 아이의 질병은 나아졌는데 심리적인 문제를 보이는 경우가 적지 않다. 그래서 만성적인 질환을 가지고 있는 아이를 돌보는 부모나 선생님은 아이의 심리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기를 돌보는 여성>


식품알레르기 아이들은 알레르기 증상으로 힘들어 하는 것 이외에 음식을 먹으면서 이루어지는 사회관계에서 소외되는 경우가 많다. 우유나 계란알레르기가 심한 아이들은 케이크를 먹어본 적이 없어 케이크 먹는 것이 소원인 아이들이 있고, 친구들 생일 잔치에 한 번도 가본 적이 없어 아이들과 어려움이 많은 아이들도 있다. 전문가들이 제시하는 식품알레르기 아이의 주요 심리적 문제는 불안과 우울이다. 


원인식품에 노출되지 않게 하려고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식품알레르기 사고는 발생하게 되어있다. 전국 응급실을 조사하여 응급상황을 일으킨 원인을 확인한 결과 74%가 식품알레르기 사고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와 같이 심한 식품알레르기 반응을 경험한 어린이는 또다시 실수로 음식을 잘못 먹고 목숨이 위태로워질 수 있다는 불안감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불안감은 언제 문제가 생길지 알 수 없고 스스로 대처할 수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상시 가지는 불안감의 원인이 된다. 


또 다른 심리적 문제는 우울감이다. 식품알레르기 아이들은 자신이 속한 그룹 속에서 친구들과 같은 대접을 받기를 원하며, 알레르기 때문에 다르게 대접받는 것을 싫어한다. 그러나 특수한 자신의 상황으로 다르게 관리되는 것을 늘 경험하게 된다. 그래서 아이는 자라면서 고립감이나 남들과 다르다는 느낌을 심하게 받으며 자신을 스스로 소외시켜 슬픔과 우울로 빠져들기 쉽다. 아이들 중에는 식품알레르기로 계란이나 우유를 못 먹는다고 아이들로부터 ‘장애아’라고 놀림을 받기도 한다. 




<우울해하는 아이>


불안감과 우울감을 늘 가지게 되는 식품알레르기 아이들이 위축되고 심리적인 문제를 가지게 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수순일 수 있다. 아이들은 스스로 대처해나갈 수 있는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심리적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아이들이 안심할 수 있는 수동적 환경 뿐 아니라 아이들 스스로 헤쳐나갈 수 있는 능동적 환경을 만들어 주기 위한 다음과 같은 노력이 필요하다.


● 신뢰감, 자율성, 주도성을 키워나가야 하는 시기에는 식품알레르기로 인한 불안으로 발달과정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어린이를 안심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 어린이에게 부정적인 느낌을 주는 말을 하지 않도록 한다. 즉, 식품알레르기에 대해 객관적인 사실만 이야기하고 “어떻게 하지”, “큰일 났네”, “왜 이런 일이 생기지” 등의 부정적인 말을 하지 않는다.


● 불쌍하다는 느낌으로 대하지 않는다. 아이에 대해 불쌍하거나, 미안해하는 감정으로 대하지 않고 의연하게 극복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 식품알레르기가 있어서 주의해야 할 객관적인 상황 이외에는 다른 아이들과 똑같이 대해준다.


● 식품알레르기가 있다는 이유로 학습활동과 기타 활동 등에서 제외되지 않도록 한다.


● 식품이 안전한지를 누구에게 물어볼지 미리 알려주어 아이가 믿을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준다.

● 어린이 스스로 알레르기를 잘 관리할 수 있도록 격려해주고, 잘 관리했을 때 칭찬해주어, 상황을 잘 통제할 수 있다는 믿음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아이를 칭찬하는 부모>


몇 년 전 EBS에서 제작한 ‘내 아이의 전쟁 알레르기’라는 다큐멘터리 제작에 참여한 적이 있었다. EBS팀에서 미국의 한 아이를 취재하였는데 99% 식품에 알레르기를 보이는 아이였다.  99% 식품에 알레르기 반응을 보인다는 것에 놀랐지만 보다 더 놀라운 사실을 보게 되었다. 아이가 너무 밝다는 사실이다. 내가 보아왔던 우리나라 식품알레르기 아이와는 너무 달라서 놀랐고 너무 부러웠다. 미국과 우리가 무슨 차이가 있을까? 식품알레르기를 관리하는 사회적 시스템이라고 생각한다. 아이를 먼저 배려하는, 약자를 배려하는 국가 시스템은 어떤 어려움이 있어도 그 어려움이 사람을 우울하게 만들게 하지 않는다. 


부모, 선생님들이 아이의 마음을 잘 살펴보았으면 좋겠고, 사회가 이런 아이들을 배려하는 시스템을 만들었으면 좋겠다. 


오랫동안 운영해오던 식품알레르기 사이트에 올라온 상담 사례를 통해 아이들의 어려움을 헤아려보고자 한다. 



저희 아이는 초등학교 6학년 여아입니다. 

호두, 땅콩 등 다른 견과류에는 반응을 보이지 않으나 유독 잣에서만 반응을 보입니다. 잣은 만져서도 냄새도 맡아도 안 되고 극히 적은 소량이라도 섭취했을 경우는 즉시 반응을 보이는데 온몸이 부어 오르고 눈이 충혈 되며 호흡곤란으로 이어집니다. 


지금까지 총 4번을 응급실로 실려 갔으며 횟수가 거듭될 때마다 아이의 상태는 더 안 좋아져 잣 외에도 꽃가루가 날리면 눈이 충혈 되며 무기력해지고 알 수 없는 강한 향신료나 사과 같은 과일에도 입안이 도돌도돌하고 껄끄러워지는 반응을 보입니다.  


저희 아이의 경우도 학교급식에서 잣이 묻어나간 보쌈김치를 먹고 사고가 난 적이 있습니다. 제가 학년 올라갈 때마다 사전공지를 하고 담임선생님께 직접 말씀드리기까지 하였으나 알러지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여 학교 보건실에서 방치하고 있었고 2시간이 지난 후 심장맥박이 위험 수치인 것 같아 응급실로 옮겨야 할 것 같다며 연락이 왔습니다. 


아이의 잠재의식 속에 나는 언제 죽을지 모른다는 두려움이 있는 것 같습니다. 

엄마.. 구급차가 무서워..나 살고 싶어.. 이런 말을 하더군요..

방법만 있다면 외국이라도 나가서 고쳐주고 싶습니다...





※ 본 블로그에 게시한 글은 개인적인 것으로 농심의 입장, 전략 또는 의견을 나타내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