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oodle talk

[푸드칼럼] 하상도 교수의 '식품의 오해' 시리즈 ⑨ 유통기한 지난 식품, 꼭 버려야 하는 건 아니다

하상도 교수의 식품의 오해 

유통기한 지난 식품, 꼭 버려야 하는 건 아니다


<우리나라 유통기한 표시제도는 합리적인가?>


지난 연말 한 장애인 복지시설에 후원 물품으로 초코파이 수십 상자가 들어왔는데, 불과 며칠 뒤 음식물 쓰레기로 버려졌다고 한다. 유통기한이 며칠밖에 남지 않은 제품을 받았기 때문에 먹다가 유통기한이 지나자 바로 버린 것이다. 회사는 선의를 베푼 것인데, 복지시설에서는 과자를 준 것을 고맙게 여기기보다 기부금 영수증까지 챙기며 유통기한이 얼마 남지 않은 과자를 대신 버려 달라는 뜻으로 곡해했었다고 한다. 


전 세계적으로 ‘섭취기한(소비기한)’, ‘판매기한’, ‘포장일자’, ‘최상품질기한(상미기한)’, ‘최상섭취기한’ 등 다양한 유통기한 표시가 활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유통기한’은 판매기한(sell by date)의 개념으로 그 날짜까지만 먹을 수 있는 소비기한이 아니라, 그 날짜까지만 ‘판매가 허용되는 기한’을 말한다.


즉 유통기한이 지나도 판매만 못할 뿐이지 소비자는 그 이상 기간 먹을 수 있다는 말이다. 그러나 정확히 유통기한에서 얼마만큼 기간이 지난 것까지 먹을 수 있는지는 아무도 모른다. 식품의 종류마다 다르고 제조사와 브랜드에 따라, 보관 상태에 따라 다르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유통기한은 ⌜식품위생법⌟에서 품목별로 일괄적으로 정해져 운영했다가 2002년 7월부터 제조업체별로 자율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허용됐다. HACCP 등 위생관리시스템 도입으로 같은 품목이라도 식품회사별로 제조공정과 시설, 인력, 위생수준이 달라 유통기한이 다르기 때문이다. 시간이 경과해도 안전에 문제가 없는 통조림, 김치, 잼류, 가루제품 등은 저장 기간의 의미가 없어 2007년 1월부터 유통기한 대신 ‘품질유지기한’을 사용하고 있다. 


소비자가 식품을 구매할 때 반드시 확인하는 것이 ‘가격’과 ‘유통기한’이라고 한다. 소비자는 가능한 한 유통기한이 오래 남은 식품을 구매하고, 판매업자는 유통기한이 임박하면 잘 팔리지 않고 혹 지나기라도 한다면 처벌받을까 봐 미리 폐기 또는 반품한다. 현재 시중에 판매되는 모든 식품의 유통기한은 식약처에서 정한 표준화된 실험법과 과학적 검증을 통해 설정되고 있으며, 소비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안전마진까지 고려해 충분한 기간으로 정하는데, 일반적으로 기업에서는 소비기한의 약 70% 정도의 기간을 유통기한으로 결정한다고 한다. 


한국소비자원에서 시중 유통 중인 냉장 빵에 대해 유통기한 경과 후 제품 수명을 실험해 검증한 결과, 최장 20일까지 소비가 가능했다고 한다. 유통기한이 지나 폐기된 빵은 사실상 20일이나 더 먹을 수 있었다는 말이다. 즉, 아까운 음식이 괜히 폐기됐다는 것인데, 이 피해가 연간 6천5백억 원에 달한다고 한다. 마트에서 유통기한 전 미리 반품, 폐기하는 물량까지 합치면 1조 원에 육박할 것으로 추측된다. 


가정에서도 소비자는 유통기한이 지난 식품을 보면 먹을까 말까 고민한다. 대부분은 버리지만 일부 유통기한이 지나도 어느 정도까지는 먹을 수 있다고 들은 사람들은 버리지 않고 먹을 때가 있긴 하나 찜찜한 마음을 감출 수가 없다. 


<유통기한표시제도에 따른 음식 폐기물 양산>


수년 전 정부의 경제담당 부서에서 식품 반품과 폐기물 발생을 줄여 가격 인하 효과를 낼 수 있는 ‘소비기한’ 제도를 도입하려 했다. 그러나 일부 소비자 단체가 이 제도가 도입되면 유통 기한을 늘려주게 되어 기업들 배만 불린다고 반대해 현재 도입되지 못하고 있는데, 이는 오판이라 생각한다. 일정 기간 더 먹을 수 있는 식품임에도 불구하고 유통업체가 폐기 또는 반품 처리함으로 제조 원가가 높아지게 되면 결국 가격 인상요인이 되어 소비자만 손해를 본다.


소비기한 제도가 도입되면 소비자에게는 이익이다. 가정에서 식품 보관 시 언제까지 먹을 수 있고 언제 버려야 하는지를 정확히 알 수 있고, 유통기한보다 소비기한이 더 길기 때문에 제품가격 인하 효과도 있다. 이런 연유로 우리나라도 ‘소비기한 제도’ 도입을 서둘러야 한다고 생각한다. 식품의 수명이 훨씬 더 긴데도 소비자들이 잘 몰라 아까운 음식 폐기물이 양산되는 게 안타깝기만 하다. 



※ 본 블로그에 게시한 글은 개인적인 것으로 농심의 입장, 전략 또는 의견을 나타내지 않습니다.